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
오행별 상관(傷官) 성향 총정리 – 화, 목, 금, 수, 토 상관의 성격 차이 각 오행별 상관(傷官)의 성향 차이상관은 자신의 개성과 창의력을 자유롭게 표현하려는 에너지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성향은 오행에 따라 전혀 다르게 드러나죠. 감정이 앞서는 화(火), 논리가 중심인 목(木), 직설적이고 강압적인 금(金), 유동적이고 자유로운 수(水), 그리고 서서히 체제를 뒤흔드는 토(土). 이처럼 각 오행별 상관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고,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화(火) 상관은 감정이 폭발하듯 표현이 강하고, 목(木) 상관은 논리적으로 시스템에 맞서죠. 금(金) 상관은 말로 직접적으로 부딪히고, 수(水) 상관은 유연하게, 토(土) 상관은 서서히 체제를 바꿉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면 상관이라는 기질이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
사주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 가끔 사주를 보다 보면 사주의 모양새와 전혀 다르게 살고 있는 사람을 자주 보게 됩니다혹은 사주를 보러 가면 ~한 성격이라고 하는데, ~ 할 것 같다고 하는데(그것도 여러번)그렇게 살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런 경우 왜 그런지 궁금하시죠? 사주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를 몇가지 나눠보려고 합니다     사주는 독립적이고 강한데, 실제로 그렇지 않은 상황간여지동이라고 하면 독립적이다, 기가 세다 하는 단식들이 있습니다무비겁 사주들과 비교하면서 뚝심있고 강하다고 말하는 의견도 있죠누군가는 간여지동은 간여지동끼리 친구한다, 끼리끼리라고 하기도 하는데요간여지동인 사주라던가, 양팔통, 그리고 근이 강한사주들은 독립적이다, 강하다는 이야기를 듣기 쉽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게 느껴진다면 환경의 요인을..
숙요점 畢宿필숙/히츠슈쿠 성격 연애경향 직장 건강운 (27숙) 숙요점을 찾아보면 27숙, 28숙이라는 단어를 보게 되실겁니다.사주의 60갑자처럼 태어난 날짜에 맞게 특정 이름을 부여하는 것인데요.그 이름을 27개로 나눠놓은 것을 27숙, 28개로 나눠놓은 것을 28숙이라고 부릅니다.사주로 따지자면 일주론과 비슷한 개념입니다점성술 숙요에서 개인이 태어난 날짜를 돌렸을 때 히츠슈쿠가 나오신 분들이 참고할 만한 포스팅으로畢宿필숙/히츠슈쿠(ひつしゅく) 성격 연애경향 직장 건강운 등을 번역했습니다    필숙(히츠슈쿠) 성격필숙인 당신은 순수하고 소박한 성격의 소유자입니다.자기 실력 밖의 일을 하려고 하지 않으므로 주변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의사를 강하게 가질 수 있습니다.(자기 주제도 모르고 여기저기 손을 뻗는 사람과는 다름)그렇기 때문에 총명하고 성실한 인상을 갖게 될 ..
숙요점 昂宿앙숙/보오슈쿠 성격 연애경향 직장 건강운 (27숙) 숙요점을 찾아보면 27숙, 28숙이라는 단어를 보게 되실겁니다.사주의 60갑자처럼 태어난 날짜에 맞게 특정 이름을 부여하는 것인데요.그 이름을 27개로 나눠놓은 것을 27숙, 28개로 나눠놓은 것을 28숙이라고 부릅니다.사주로 따지자면 일주론과 비슷한 개념입니다점성술 숙요에서 개인이 태어난 날짜를 돌렸을 때 보오슈쿠가 나오신 분들이 참고할 만한 포스팅으로昂宿앙숙/보오슈쿠(ぼうしゅく) 성격 연애경향 직장 건강운 등을 번역했습니다    보오슈쿠 성격앙숙의 성격은 우아하고 고귀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이 별은 학문이나 예술을 관장하며, 인체로 말하면 머리에 해당합니다이성적이고 우선은 머리로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투도 부드럽고, 상대에게 우아한 인상을 줍니다예술적 센스도 좋고 취미도 좋은 것이 특징입니다..
궁합으로 유명한 숙요 궁합으로 유명한 일본의 숙요점은 점성술에 기반을 둔 방식입니다. 개인의 성공이나 운세를 보는 것보다 궁합으로 더 유명합니다. 태어난 시간을 알지 못해도 점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사주 궁합과 다른 점입니다.  두 사람의 차트를 뽑으면 특정 관계의 이름이 나오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궁금한 경우 구글에서 해당 관계의 이름을 검색해보면 됩니다.    상대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적중률이 높아서 궁합을 보는 사람들 사이에서 소소하게 인기가 있습니다.       숙요점의 역사와 특징  역사: 숙요점은 일본 전통 점술 중 하나입니다. 중국의 음양오행설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는 있으나 대개의 점술이 그렇든 부정확합니다. 약 1300년전부터 활용되었다고 알려져는 있습니다.   특징: 숙요점은 개인의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특정 이..
싫어하는 사람 꿈 해몽 15가지 꿈에서는 인물이 실존 인물과 다른 사람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굴을 처음 보는 사람인데 꿈에서는 나의 친한 사람이기도 하고, 나의 가족으로 나오기도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현실세계에서 내가 싫어하는 사람이 그대로 꿈에서 나오면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싫어하는 사람이 꿈에서 나오는 15가지 상황을 알아보고 꿈 해석 해몽에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목차 싫어하는 사람이 꿈에 나오는 이유 싫어하는 사람과 싸우는 꿈 싫어하는 사람과 사귀는 꿈해몽 싫어하는 사람과 밥 먹는 꿈의 의미 싫어하는 사람과 화해하는 꿈 싫어하는 사람과 결혼하는 꿈의 심리 싫어하는 사람과 전화하는 꿈 배경 싫어하는 사람과 자는 꿈 뜻 싫어하는 사람을 죽이는 꿈 싫어하는 사람에게 죽는 꿈 해석 싫어하는 사람을 때리는 꿈 ..
수영장 꿈 장소의 의미 물 더러운 수영하는 꿈 노는 꿈 등 해몽 모음 이상한 꿈을 꾸고 나면 하루종일 꿈 생각이 나고 어떤 의미일까, 어떤 암시일까 생각하며 하루를 보내게 됩니다. 같은 장소가 나오는 꿈이라고 하더라도 어떤 날은 기분 좋게 느껴지고, 어떤 날은 불안하고 기분 나쁘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장소에 맞게 꿈 해석을 찾아보셨더라도 꿈속 상황이나 나의 현실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아시면 좋겠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수영장을 배경으로 한 꿈의 해석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수영장 꿈, 맑은 물이나 더러운 물이 있는 꿈부터 수영장에서 수영을 하는 꿈, 친구와 방문하는 꿈, 난처한 일을 당하는 꿈 등등 다양한 상황의 꿈 해몽입니다. 목차 꿈에서 수영장이 의미하는 것은? 수영장에 물이 많거나 물이 없는 꿈 수영장 물이 많은 꿈 반대로 물이 너무 더러운 꿈 ..
무식상 사주 단식 사주에 식상이 없으면 어떻게 살까 만세력에서 자신의 생년월일을 검색해 보면 목-화-토-금-수 오행 위로 등 생소한 글자들이 쓰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각각의 오행을 일간 기준으로 하여 사회적 역할인 육신을 부여한 것입니다. 육신은 총 10가지 인데요. 이중에 자신에게 없는 것을 기준으로 통변을 하는 방법도 나름 재미가 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신에게 없는 오행을 기준으로 알아보는 단식, 그중에서도 무식상 단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무식상 사주? 무식상 사주란 일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생하는 오행이 없다는 뜻입니다. 즉 내가 목일간이라면 화오행이, 화일간이라면 토오행이, 토일간이라면 금이, 금일간이라면 수, 수일간이라면 목이 없다는 뜻입니다. 내가 생하는 오행의 육신은 식신/상관으로 나누어 집니다. 내가 음일간인데 음의 ..
을묘일주 특징, 공망과 천을귀인, 결혼하기 좋은 때와 좋은 궁합의 일주 을묘일주는 천간 을과 지지 묘로 구성되어 있는 간여지동 일주 중 하나입니다. 천간을, 지지묘의 특성으로 을묘일주를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을묘일주가 겁재운이 왔을 때는 어떤지 직장운과 남편운은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을묘일주의 공망과 천을귀인, 그리고 궁합이 좋은 일주까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천간을 지지묘의 특성으로 알아보는 을묘일주(간여지동) 을: 자유, 바람, 활동적, 화초, 꽃, 넝쿨, 풀 상징 -> 적응력이 뛰어나고 시련이 닥쳐도 끈질김 묘: 을목의 비견, 건록지 지장간 갑목+을목/ 갑목으로 인한 근자감 있을 수 있다. 묘의 지장간: 갑목/겁재(제왕), 을목/비견(건록) 확장성(크게 넓게 확장하려는 기운) 토끼를 상징/ 재물을 흩어지게 한다 을묘일주: 간여지동 간여지동은 주장이 강하고 고집이 세다...
을묘일주 일주론 성격 필요한 오행 다루는 방법 을묘일주 - 을묘일주의 지지인 묘에 대해서 자세히 고찰: 인목과 묘목을 비교 - 인목 : 목이 시작된 것. : 수에서 벗어나지 못함 - 억압과 어둠. : 지장간 (무병갑)혼재. 정체성 잘 알지 못함. - 묘목 : 목이 끝난 것 : 수가 필요하지 않다. 다 벗어남. : 물상으로 따지면 이미 다 커져있는 나무, 가지 끝까지 물이 도달한 나무, 미세혈관 끝까지 혈액이 잘 순환하는 것과 비슷. : 목의 에너지 절정 - 을+묘 : 목의 에너지 절정인 묘가 을목과 합쳐짐 => 을과 묘는 하나다 : 을목의 유일한 근 "묘" 을묘일주의 성격 : 친구가 나이다. 이 사람이 곧 나다. 원하는 것, 싫어하는 것 같다. : 목의 에너지가 충만하기에 극을 견디는 힘이 크다. : 맞으면서 버티지만 한 번 한번 참다가 뒤집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