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
을묘일주 일주론 성격 필요한 오행 다루는 방법 을묘일주 - 을묘일주의 지지인 묘에 대해서 자세히 고찰: 인목과 묘목을 비교 - 인목 : 목이 시작된 것. : 수에서 벗어나지 못함 - 억압과 어둠. : 지장간 (무병갑)혼재. 정체성 잘 알지 못함. - 묘목 : 목이 끝난 것 : 수가 필요하지 않다. 다 벗어남. : 물상으로 따지면 이미 다 커져있는 나무, 가지 끝까지 물이 도달한 나무, 미세혈관 끝까지 혈액이 잘 순환하는 것과 비슷. : 목의 에너지 절정 - 을+묘 : 목의 에너지 절정인 묘가 을목과 합쳐짐 => 을과 묘는 하나다 : 을목의 유일한 근 "묘" 을묘일주의 성격 : 친구가 나이다. 이 사람이 곧 나다. 원하는 것, 싫어하는 것 같다. : 목의 에너지가 충만하기에 극을 견디는 힘이 크다. : 맞으면서 버티지만 한 번 한번 참다가 뒤집음. :..
묘신원진 성격 3가지 개운법(저는 포스타입 쓰기를 강추합니다) 이 포스팅의 주제는 원진입니다. 그 중에서도 묘신원진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그 전에 원진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야 겠지요? 원진이란 한문으로는 원망할 원(怨), 성낼 진(嗔)입니다. 서로 원망하고 성낸다는 뜻이며 고서에서는 각 지지가 의미하는 동물이 서로 싸우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지요. 하지만 고서 부분을 굳이 인용하지는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지금 이 시점에서 원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별로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어플등으로 만세력을 볼 수 있고 원진이나 신살 표시도 다 되어 있기 때문에 원진이 있다는 것만 알면 충분합니다. 보통 일-월에 있는 경우, 일-시에 있는 경우를 강한 영향으로 보며 년-시처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원진의 종류 원진은 총 5가지 입니..